이승윤
이승윤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I요약
국립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이승윤 교수는 첨단 신소재 개발 분야의 권위자입니다. 이승윤 교수는 전기화학센서, 고순도 수소 측정 기술, 그리고 칼코겐화물 기반의 투명 광전자 소자 및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피온 기반 수소센서 및 투명 컬러 태양전지, 칼코겐화물 나노복합체 필름 제조 등 다양한 핵심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교수의 연구는 미래 에너지 및 정보 저장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의 연구는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이승윤 |
직책 | 교수 |
이메일 | sy_lee@hanbat.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국립한밭대학교 |
부서 학과 | 신소재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428211241 |
연구실 | 기능성전자재료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lab.hanbat.ac.kr/functelectronmater |
홈페이지 | https://lab.hanbat.ac.kr/functelectronmater/professor |
경력정보
회사명 | 한밭대학교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2009.03 - 현재 신소재공학과 교수 |
회사명 | University of North Texas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2014.08 -2015.08 Visiting Scholar |
회사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1999.09 - 2009.02 선임연구원 |
회사명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2003.11 - 2004.11 KOSEF Post-doctoral Fellowship |
회사명 | Technical University of Berlin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1998.07 - 1998.08 DAAD Short Term Grant |
중요 키워드
#광전자소자#박막#투명소자#신소재공학#레이저접합#센서기술#미세조직#나노복합소재#상변화소자#페로브스카이트#재료전자물성#에너지소재#수소센서#칼코겐화물#태양전지
대외활동
활동 내용 | [대외 활동] -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기술공유대학' 충청권 컨소시엄 참여: 대전시, 충남도 등 5개 광역·기초자치단체와 한밭대, 국립공주대, 충남대 등 충청권 7개 대학, 2개 지역혁신기관, 그리고 에프씨아이 등 대전 지역 수소연료전지 전문기업, 한국화학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수소연료전지 기술 연구·개발 및 관련 분야 인재 양성에 기여 [기술이전/기술지도] - 수소연료전지 소재혁신 전문 인재 양성 및 연료전지 성능개선과 상용화에 기여, 지역 내 수소연료전지 기반 분산에너지 활성화의 한 축을 담당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신소재공학, 박막 공정, 에너지 소자 (수소 센서, 연료 전지, 태양 전지), 상변화 소자 세부 분야: 전기화학 센서, 나노복합소재, 레이저 접합, 미세조직 제어, 투명 광전자 소자, 정보 저장 소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표 연구 내용] 수소 에너지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고분해능 수소 센서 및 고습도 재순환 수소 농도 측정 기술 개발은 수소 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승윤 교수는 전기화학센서 기반의 정밀 수소 센서와 고습도 환경에 강한 수소 센서를 개발하여 수소 생산 및 활용 분야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 소자의 성능 향상을 위해 칼코겐화물-비전도체 나노복합소재 박막 형성 및 미세구조 제어 기술을 연구해왔습니다. 이를 통해 투명 광전자 소자와 정보 저장 소자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인 태양전지 분야에서는 투명도와 광전 변환 효율을 동시에 극대화하는 투명 및 컬러 태양전지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파장선택 다층구조와 나노 패터닝 기술을 적용하여 건축물 일체형 태양광(BIPV) 등 미학적 요구가 높은 분야에 적용 가능합니다. 더불어 페로브스카이트-비정질 실리콘 이종접합 태양전지 연구를 통해 기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고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핵심인 상변화 소자 기술에서도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칼코겐화물-비전도체 나노복합소재 박막을 활용하여 줄 발열 특성을 최적화하고 상변화에 필요한 전력을 감소시키는 기술은 저전력 고성능 차세대 메모리 개발에 중요한 사업적 가치를 가집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효율 증대, 신소재 개발, 첨단 소자 분야에서 폭넓은 산업적 파급 효과와 투자 가치를 제공할 것입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1999.08 KAIST 공학박사 (재료공학) -1996.02 KAIST 공학석사 (재료공학) -1994.02 KAIST 공학사 (재료공학)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