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정현

김정현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I요약

국립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는 차세대 에너지 시스템의 핵심인 연료전지 및 신소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공기극 및 연료극 성능 향상, 고성능 고체전해질 소재 개발, 그리고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책 과제 수행 경험과 전극의 미세구조 판별 및 전기전도도 조절 방법에 대한 특허 등록을 통해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연구 성과를 입증하고 있습니다. 김정현 교수의 혁신적인 연구는 미래 에너지 기술 발전과 지속 가능한 사회 구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김정현 프로필 사진
연구자 명김정현
직책교수
이메일jhkim2011@hanbat.ac.kr
재직 상태재직 중
소속국립한밭대학교
부서 학과신소재공학과
사무실 번호0428211239
연구실N8동 211호
연구실 홈페이지-
홈페이지-

중요 키워드

#기술이전#공기극#촉매#연료극#가스센서#재료공학#전고체전지#전해질#미세먼지 제거#페로브스카이트#수소저장#신소재#에너지 소재#열처리 공정#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대외활동

활동 내용[기술 자문/이전] - 리튬 이차전지의 새로운 혁신 가넷 계 전고체 전해질 - 나노구조 페로브스카이트 공기극이 연료전지 성능을 어떻게 향상시키나요? - 다공성 전극의 전기전도도 정확히 측정하는 혁신적 방법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연구 분야] 핵심 분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전고체전지 소재 개발, 에너지 재료, 촉매 기술 세부 분야: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기반 공기극/연료극, 리튬 초이온전도체 고체전해질, 수소저장 재료, 촉매 성형 및 탈황 기술, 나노구조 전극, 가스/미세먼지 센서 [대표 연구 내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차세대 전고체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는 전극 및 전해질 소재의 성능입니다. 기존 소재는 낮은 전기전도도, 높은 면적비저항, 복잡한 제조 공정 등의 한계를 가집니다. 본 연구는 비화학량론적 조성을 갖는 층상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을 이용한 고성능 공기극 소재와 산화물계 리튬 초이온전도체 고성능 필름 제조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공기극의 전기전도도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다공성 전극의 미세구조를 판별하는 독자적인 방법을 확립하여, 우수한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이는 기존 기술 대비 전극 성능을 최적화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 기술은 고효율, 고안정성 차세대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 개발에 필수적인 핵심 소재 기술로, 전기차,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분산 발전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관련 기업의 제품 경쟁력 강화 및 신시장 진출에 기여합니다. 또한, 대기 질 악화 및 특정 가스 유출은 환경 문제 및 인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효과적인 미세먼지 제거 및 유해가스 감지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복합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을 활용한 고감도 가스 검출 센서와 바 타입의 이동형 미세먼지 제거 장치, 인공 비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특히 플라즈마 발생부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실내외 공기 질 개선에 기여합니다. 이 기술은 실내외 공기질 개선 솔루션, 산업 현장의 유해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스마트 홈/빌딩 공조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며, 국민 건강 증진 및 안전 환경 구축에 기여하여 시장 수요가 높습니다.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