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국립한밭대학교 창의융합학과 이종희 부교수님은 친환경 소재와 미래형 전자소자 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전문가입니다. 교수님께서는 친환경 재사용 가능 바이오폴리머, 유연전자소자, 광전자소자(OLED, 전기발광소자) 개발 및 최적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계십니다. 특히, 고효율 용액공정 페로브스카이트 전기발광소자와 Solution-Shearing 프린팅 공정을 활용한 유기광원 연구는 물론, 생분해성 소재 기반의 피부 부착형 다기능 스마트기기 구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 스펙트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책 과제 수행 경험과 '용액공정 도핑을 이용한 고분자 전극' 관련 특허를 통해 실용적인 기술 개발 역량을 입증하셨습니다. 이종희 교수님의 깊이 있는 융합 연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친환경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이종희 |
직책 | 부교수 |
이메일 | jonghee.lee@hanbat.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국립한밭대학교 |
부서 학과 | 창의융합학과 |
사무실 번호 | 0428288802 |
연구실 | 광전자재료 연구실(EDM Lab.)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jongheeleegroup/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site/jongheeleegroup/people/professor?authuser=0 |
회사명 | 국립한밭대학교 |
재직기간 | 재직 중 |
담당업무 | 유기전기발광소자(OLEDs), 친환경 고분자 기반 광전자소자 (Skintronics), 유/무기 전자소자용 대체전극/광효율향상/소재/광학시뮬레이션 기술 연구. 특히 OLED 광효율 및 안정성 향상 기술, QD-OLEDs 개발, 생분해성 소재 기반 스마트기기 연구를 수행.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머크 젊은 과학자상 수상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상 수상 - JID우수논문상 수상 - IMID우수논문상 수상 - OPC우수논문상 수상 |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유기전기발광소자 (OLED), 친환경 고분자 기반 전자소자 세부 분야: 바이오폴리머 기반 전자소자, 스트레쳐블 전극, 습도 센서, 광학 PUF, 전하 트랩 메모리, OLED 소자 엔지니어링, OLED 광 추출, 프린팅 OLED, 투명 OLED, 대체 전극 [대표 연구 내용] 고효율 디스플레이와 친환경 전자소자 개발은 미래 전자 산업의 핵심 과제입니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유기전기발광소자(OLED)의 광효율과 안정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기술과, 생분해성 소재 기반의 생체 적합형 스마트기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기술 우위] OLED 분야에서는 기존 마이크로 사이즈 구조체 기반의 광추출 필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피라미드 구조체에 다공성 표면을 도입하여 광효율을 극대화하고 시야각 의존성을 최소화하는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상용 수준의 박막 봉지(TFE)가 적용된 상부발광 OLED에 직접 적용 가능하여 상용화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양자점(Quantum Dots, QD)을 이용한 QD-OLEDs의 효율 및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CF4 플라즈마 처리 및 잉크젯 공정 기반 Micro-Lens Arrays(MLA) 구조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전자소자 분야에서는 생분해성 소재를 활용하여 피부 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스마트기기를 구현함으로써, 환경 부담을 줄이면서도 헬스케어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사업 가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고효율/고안정성 OLED 기술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작용하여, 더욱 선명하고 효율적인 디스플레이 제품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것입니다. 또한, 생분해성 스마트기기 기술은 환경 규제 강화 및 지속 가능한 기술에 대한 시장 요구에 부응하며, 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을 주도할 잠재력을 가집니다. 이는 관련 기업들에게 새로운 시장 창출 및 기술 선도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
학력 사항 | 화학 박사 KAIST 화학 (2007) 화학 석사 KAIST 화학 (2004) 화학 학사 KAIST 화학 (2002)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