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김동수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창의융합학과)
AI요약
국립한밭대학교 기계공학부 김동수 석좌교수는 3D프린팅, 인쇄전자, 롤투롤 코팅 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하이브리드 3D프린팅을 이용한 액티브 인쇄전자 시스템 개발, 유연인쇄전자 국제표준 구축 등 다수의 핵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다기능 복합 프린팅 시스템, 유기 반도체 박막 형성 장치 등 첨단 기술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김동수 교수의 혁신적인 연구는 미래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동수 |
직책 | 석좌교수 |
이메일 | dongsu.kim@hanbat.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국립한밭대학교 |
부서 학과 | 창의융합학과 |
사무실 번호 | 0428211122 |
연구실 | 인쇄전자및3D프린팅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hanbat.ac.kr/creative/sub04_0302.do |
홈페이지 | - |
경력정보
회사명 | 현대제철(주) |
재직기간 | 1988.01.01 ~ 1988.12.31 |
담당업무 | 압연단조 기계부 기사 |
회사명 | 한국기계연구원 |
재직기간 | 1991.01.01 ~ 2011.07.31 |
담당업무 | 연구원, 선임연구원 (1993년), 책임연구원 (2003년) 역임 프린팅공정장비팀장 (2007.10~2008.10) 나노융합기계연구본부장 (2008.10~2009.08) 선임연구본부장 (부원장, 2009.09~2011.07) 21년간 3D프린팅 공정장비 및 Roll-to-Roll 생산장비 국산화 개발 |
회사명 | 다수의 대학교 (겸임교수) |
재직기간 | 2003.01.01 ~ 2011.07.31 |
담당업무 | 부산대, 제주대, 중부대, KAIST, 서울대 겸임교수 역임 |
회사명 | 국립한밭대학교 |
재직기간 | 2012.02.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교수 한밭대 산학협력단 중소기업협력센터장 (2012.08~2014.07) 2012년부터 현재까지 인쇄전자 및 4D프린팅 연구개발, 인력양성에 주력 |
중요 키워드
#3D 프린팅#기술이전#디스플레이#공정 기술#인쇄전자#첨단 재료#스마트 센서#배터리#롤투롤#나노 프린팅#하이브리드 제조#유연전자#IoT 모듈#공동 연구#태양전지
대외활동
활동 내용 | [산업 협회 활동] - 지식경제부, 대한인쇄정보기술협회 이사 (2007.01~2011.12) - 지식경제부, 한국인쇄전자산업협(의)회 부회장, 이사 (2008.01~현재) - 3D프린팅 산업협회 이사, 대전지회장 (2014.~현재) - 연구소기업협회 이사 (2015.~현재) [학회/위원회 활동] - 대한기계학회, 평의원 및 대외협력이사 (2009.01~2011.12) - 한국정밀공학회, 임의형상제작시스템부문 위원장 및 이사, 평의원 (2009.01~2011.12) - 신재생에너지학회 이사 (2010.01~2012.12)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부회장, 이사 (2011.01~현재)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지방과학협의회 민간위원 (전국) (2010.12~2012.12) - 산업기술연구회, 그린텍이노베이터 위원 (2010.06~2011.05)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단 자문위원 (2010.12~2012.05) [정부/기관 자문] -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자문위원 (2008.10~2011.01) - 지식경제부, 신재생에너지(태양광) 및 에너지절약(저장) 기술위원회 위원 (2010.01~2011.12) - 지식경제부, 반도체/디스플레이장비 기술위원회 위원 (2010.01~2011.12) - 교육과학기술부, GPP 리서치 센터장 (2006.05~2011.07)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하이브리드 3D프린팅, 인쇄전자, 롤투롤 공정, 나노/마이크로 복합 프린팅 시스템, 유연 인쇄전자, 바이오/메디컬 3D프린팅, 금속 3D프린팅 [대표 연구 내용] 기존의 제조 기술로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초미세 패턴, 복잡한 3D 형상, 유연한 전자소자, 다층 구조의 인쇄회로기판 등을 고효율로 생산하고, 동시에 공정 비용을 절감하며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 과제입니다. 특히,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복합 기능성 부품 제조와 정밀 제어를 통한 품질 확보는 첨단 산업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김동수 교수는 하이브리드 3D 프린팅 기술과 롤투롤 인쇄전자 공정 기술을 융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나노 3D 프린터 장치' 개발을 통해 원자/분자 레벨의 나노 사이즈 입자 제어 및 패터닝이 가능하며, 이는 기존 2D/3D 프린팅 기술의 한계를 넘어섭니다. 또한, '3차원 체적 적층 프린터' 기술은 3차원 보강간섭을 이용하여 기존 2차원 적층 방식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3차원 체적을 구축할 수 있는 혁신을 제공합니다. '복합 프린터를 포함하는 다기능 복합 프린팅 시스템'을 통해 2차원 및 3차원 인쇄가 모두 가능하며, 미세 선폭 패턴 구현 및 잉크 절감 효과를 달성합니다. 유연 기판에의 미세 패턴 형성 기술, 투명전극필름 제조 기술, 금속 3D 프린팅 장비 및 공정 개발 등은 김동수 교수의 독보적인 기술 역량을 보여줍니다. 개발된 기술들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전자소자, IoT 모듈, 리튬이차전지, 태양전지, 바이오/메디컬 기기 등 차세대 전자 및 바이오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제조 공정의 단순화, 생산성 향상, 재료 비용 절감은 기업의 경쟁력을 크게 높일 것입니다. 특히, 신개념 나노 2D/3D 프린팅 기술은 Nature Communication에 게재될 만큼 파급력이 크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등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 및 신규 기업 창업을 추진하고 있어, 실제 산업계에서의 높은 활용 가치와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됩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UCLA Visiting Scholar (2003)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