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해철
최해철
소속
국립한밭대학교 (지능미디어공학과)
AI요약
국립한밭대학교 지능미디어공학과 최해철 교수님은 차세대 영상 처리 및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비전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교수님은 Versatile Video Coding(VVC), HEVC 등 최신 비디오 부호화 기술과 UHD 영상 처리, 3차원 공간 미디어 규격화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고 계십니다. 또한, 딥러닝 기반 드론 탐지 및 무인비행체 추적 알고리즘 개발, 스마트 센서 및 AR/VR 스트리밍 플랫폼 기술 개발 등 실용적인 AI 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교수님의 연구는 미래 미디어 기술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최해철 |
직책 | 교수 |
이메일 | choihc@hanbat.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국립한밭대학교 |
부서 학과 | 지능미디어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428211149 |
연구실 | Visual Media Lab.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lab.hanbat.ac.kr/media |
홈페이지 | https://lab.hanbat.ac.kr/media/professor |
경력정보
회사명 | 국립한밭대학교 |
재직기간 | 2010.03.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지능미디어공학과 교수 재직 중. 비디오 부호화, 컴퓨터 비전, 딥러닝, 영상 압축, 국제 표준 분야에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기계를 위한 특징 부호화 기술(FCVCM)' 개발을 통해 관련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회사명 | 국립전파연구원 |
재직기간 | 2020.06.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정보통신표준 전문위원회(JTC 1/SC 29) 위원으로 활동하며 정보통신 표준화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회사명 | 대전광역시 정보화위원회 |
재직기간 | 2022.05.01 ~ 2024.05.31 |
담당업무 | 대전광역시 정보화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지역 정보화 정책 수립에 기여했습니다. |
회사명 | MPEG뉴미디어포럼 |
재직기간 | 2016.01.01 ~ 2023.12.31 |
담당업무 | MPEG뉴미디어포럼 사무총장으로 국제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고 기술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회사명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재직기간 | 2004.01.01 ~ 2010.12.31 |
담당업무 | 방송미디어연구부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관련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
중요 키워드
#AR/VR 기술#국제 표준#포인트 클라우드#VVC#신호 처리#딥러닝#HEVC#NFC 기술#인공지능#드론 인식#머신 비전#영상 압축#비디오 부호화#화질 평가#컴퓨터 비전
대외활동
활동 내용 | [표준화 및 국제 협력 활동] - 독일 하노버 제144차 MPEG 표준화 회의 참가 - '기계를 위한 특징 부호화 기술(FCVCM)' 기술 제안 요청 평가에서 세계 1위 달성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의 공동 연구 진행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지원 연구개발사업 참여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 주요 분야: 비디오 부호화, 컴퓨터 비전, 딥러닝, 영상 압축, 국제 표준 - 세부 분야: 신호 처리, 신경망 기반 미디어 데이터 처리 기술 [대표 연구 내용] 딥러닝 기반 머신 비전 임무 수행 과정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압축 및 전송을 위한 '다중 해상도 특징맵 부호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기계를 위한 특징 부호화 기술(FCVCM)'로, 딥러닝 네트워크의 특징맵을 비디오 부호화기에 최적화하여 기존 Versatile Video Coding(H.266) 대비 92% 이상의 성능 개선을 달성했습니다. 본 기술은 신경망 내 중간 특징 정보를 효율적으로 압축 및 전송함으로써, 기계 시각 분야의 데이터 처리 효율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킵니다. 향후 국제 표준화를 위한 핵심 기술로 반영될 예정이며, 이는 관련 산업 분야의 기술 경쟁력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공학박사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1999) 공학석사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1997) 공학사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 (1993) |
보유 기술 로딩 중...